practice 2

[Kotlin] List가 MutableList를 사용하는 이유

🍎 Kotlin List 사용 중 내부 코드에서 List가 MutableList를 사용하는 것을 발견해 어떤 이유로 MutableList를 사용하는지 정리합니다.+ 또한 이에 적용된 설계 Practice를 정리하고 어떤 방식으로 설계에 녹여낼 수 있을지 정리합니다.🍏 List 생성 내부 Code✓ Immutable(불변)인 List를 호출하는 것을 기대했지만 MutableList를 호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MutableList 생성 내부 Code✓ List 함수 바로 아래 위치해 있는 MutableList 함수는 ArrayList를 내부 변수로 선언한 후 반복을 통해 Element를 집어 넣습니다. ❓ 왜 List는 MutableList를 호출하는 것일까요??✓ List 또한 Mutab..

TIL 2025.03.30

[Dev]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

🍎 상황 설명- 서비스 리뉴얼의 기반이 아직 완전히 준비되지 않은 상황 (예: 사용자 DB 설계, 인증 시스템)에서 요구사항 할당-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새로운 기능을 제공해야 하므로, 레거시 시스템을 기반으로 API를 개발.- 서비스의 기반이 완성된 이후, 개발팀 내부 의견 조율을 거쳐 기존 기능을 개선하고 리팩터링 하기로 결정.- 결과적으로, 레거시 버전과 개선된 버전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게 됨.🤔 버전관리를 문제로 인식한 이유- 한 번 정해지고 서비스에 반영이 된다면 되돌리기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리소스로 버전을 관리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리소스로 버전을 관리하고자 정했으니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반드시 두 개의 En..

Dev 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