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2

DB CRUD 작업의 비용 분석

🍎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흔히 당연시되는 영속 계층(RDB)의 CRUD 작업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싶어, 그 비용과 효율성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 CRUD 작업의 효율성을 논하기 전에, ‘Create’와 ‘Read’가 각각 ‘Insert’와 ‘Select’와 어떻게 다른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어가 갖고 있는 의미를 명확하게 정의해 혼란을 없애기 위함입니다.‘Create’와 ‘Read’는 데이터 조작의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냅니다.‘Insert’와 ‘Select’는 추상적인 개념을 SQL 명령어로 구체화한 것입니다.- 이 후 글의 진행에선 구체화한 명령어인 SQL의 ‘Insert‘와 ‘Select‘를 사용하겠습니다.(참고로 Update와 Delete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쓰인 단어의 모양이 동일..

Dev 2024.09.15

Hard, Soft Delete and etc..

🍎 프로젝트 관련 수영장 정보 삭제 시 오늘 알게 된 Soft Delete를 사용했습니다. 이유는 잠재적인 미래 사용을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잠재적인 미래 사용으론 운영되고 있지 않은 수영장을 사용자가 고르게 되면 다른 체육 활동 시설, 운영되고 있는 수영 시설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좌표계산 부분을 어느 계층에 두어야할 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리팩토링이 필요한 부분이고 일단 infra에 정의해 진행합니다. 🍏 예외는 정말 예외인 곳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유는 예외를 생성할 때 스택 추적 전체를 캡처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Query Parameter vs Path Variable의 차이 위 두 방식은 어디에 어떤 데이터(명사)를 요청하는 것인지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

TIL 202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