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 2

[Dev] 프로세스 메모리 할당과 JVM

🍎 저수준에서 힙영역 메모리 할당에 관하여 알아보고 운영체제의 상을 차용한 JVM 에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글입니다.(저수준의 언어 == C언어)🍏 프로세스 주소 공간과 구성 요소의 역할-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은 위 이미지와 같이 구성되며, 코드 영역은 낮은 주소부터 시작하고, 스택 영역은 높은 주소부터 하향식으로 동적으로 확장됩니다. Code Area(코드 영역)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의 코드 영역에는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 더 정확하게는 컴파일한 후 생성된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됩니다. 스레드가 공유하는 영역이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은 코드를 수정할 방법이 없으므로 스레드 안전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Data Area(데이터 영역)데이터 영역은 전역 변수가 저장되는 곳입니다..

Dev 2024.11.12

Enum을 사용할 때 생각해봐야할 점

🍎 Enum을 "잘" 사용하는 나름의 방법을 예를 통해 정리한 글입니다.🍏 Enum에 관한 정의- Wiki에서 정의한 열거형(Enumeration) 타입은 멤버라 불리는 명명된 값의 집합을 이루는 자료형입니다. 열거자 이름들은 일반적으로 해당 언어의 상수 역할을 하는 식별자입니다. - 위의 내용을 풀어 설명하면, 열거형은 여러 이름이 있는 값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자료형을 뜻하고 여기서 각각의 값은 ‘멤버’라고 하며, Enum Class는 이러한 멤버들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e.g) 일주일을 나타낼 때, '월, 화, 수, 목, 금, 토, 일'과 같이 이름을 붙인 값들을 열거형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생각해 볼 것✓ 어떤 값을 Enum으로 사용해야 할까? 1. 동일한 위상의 값Enum의 멤..

Dev 2024.09.26